기획안을 만들때 기획안을 만들때
🛥

기획안을 만들때

상위 기획 & 상세 기획

notion imagenotion image
notion imagenotion image
 
💡
용어를 다 정의하는 것.
  • 같은 이름을 가진 다양한 부분들이 있다.
 
notion imagenotion image
  • 같은 RoLE이더라도? 이게 여기 role인지 다른데있는건지? 다 다름.
→ 그래서 맨 처음에 시작할 때 가장 먼저 해야하는 건?
우리 서비스 내에서 사용하는 그 용어를 다 정의하는 것.
  • 이미 있는 건 잘 가져다 쓰되, 우리 서비스에만 해당하는 것들도 있을 수 있으니깐? 그건 우리가 정의해야함.
 
💡
iOS와 Android 용어를 구분하자.
notion imagenotion image
→ 왜냐면 각 OS개발자에게 다른 용어로 말해야하므로
 
ex. 똑같은 알림창을 놓고 보더라도?
ios에서는 alert
notion imagenotion image
안드에서는 dialog임.
notion imagenotion image
 
점점 경험이 많아지면? 대상에 따라서 어떤 용어로 말할 지가 딱 나온다!
 
하나의 기획서 안에서 iOS, Android 둘다 들어간다면?
→ 둘을 혼용할 수 있기 때문에 아싸리 구분해서 쓰거나, 혹은? 아싸리 내가 새로이 정의한다.
ex. 알림창은 → alert로 정의하겠다- 라고 한다.
 
💡
기획안을 읽는 대상에 따라서 다르게 쓰자.
  • 새로운 아이디어를 위한 토론인지,
  • 이미 다 정해진 것의 세부사항을 공유하기 위한 논의인지,
  • 바뀐 부분만 전달하면 되는 건지 등등 목적이 다를 겁니다.
⇒ 이거에 따라서 문서는 달라져야해요.
 
  • 개발자분들은 문서를 잘 안읽는다. 왜냐면? 너무 내용이 많음. 그러다보니 그걸 읽지 않고 임한다.
  • → 개발자의 이해 수준을 파악한뒤에, 가장 중요한 것들 중심으로 적어야한다.
  • 플로우앱을 하더라도? 스토리보드를 만들더라도? 그건 다 대상의 이해수준에 따라 다를 것임.
 
내가 맨 처음에 싱크를 기획할 때.. 기획안을 만들지 못했다.
 
문서를 만들 때 이걸 개인정보보호파트(법무팀)에서 볼지, 개발자가 볼지, 기획자가 볼지?에 따라서.. 정말 다를 것임.
그리고 개발자라고 하더라도? 기획에 대해서 너무 모르는 개발자에게는 정말 자세하게 썼어야하고, 잘 아는 개발자에게는 중요한 부분만 넣어야하고..
  • 용어도 정의하지 않았기 때문에 지금 이 모든 것들이 혼란이 생겼다.
 
💡
기획안의 버전을 잘 명시한다.
  • 개정 이력을 적어야 함.
  • 안 그럼 내가 이걸 과거 버전을 보는지 아닌지 파악이 어려움.
notion imagenotion image

기획자마다 스타일이 있다.
  • UI 디자인을 많이 짜서 주는 기획자가 있고, 디자인은 아주 rough하게만 넣고 기능에 대한 설명에만 치중하는 기획자도 있음.
  • 전자의 경우에는 디자이너 입장에서는 크리에이티브 바운더리가 너무 제약이 생김.
  • 나는 어떤 스타일일까?
 
💡
동적 vs 정적을 구분해준다.
관건은 데이터가 어디서 오냐-임.
  • 어떤 거는 클라(내 스맛폰)에서 가지고 오고, 어떤 거는 서버에서 가지고 온다.
notion imagenotion image
동적인거는 그 때그 때 서버든 클라든 계속 가지고 와서 그 시점에서 새로운 걸 보여줘야한다.
notion imagenotion image
  • 동적인 거는 대부분 : 계속 바뀌어야하는 것들임. 무한대일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음. 정적인거는 그냥 코딩 한번 하고 나면 끝임. DB랑 소통할 것이 없음. 그래서 쉬움. → 그래서 동적 스펙에 대해서는 고민이 더 필요함.
notion imagenotion image
notion imagenotion image
 
동적이다 보면.. 소비자들이 어떤 DB를 가지고 있을지 모르기 때문에
극단적인 상황에 대한 혹은 다양한 경우의 수에 대한 고민이 필요함.
 
1) DB가 아예 하나도 없는 상황
없었을 때 뭐가 뜰지? 고민이 필요하다.
왜냐면 동적이면 혹시라도 DB가 없을 때 아무거도 안 뜰거임.
ex. 예를 들며 mele에 넣은 to-do가 아무것도 없는 경우에는 sample이나 instruction을 넣도록 기획한다던지?
notion imagenotion image
notion imagenotion image
 
2) 여기에 들어갈 Data가 무진장 길거나 짧은 상황
그럼 이런 극단적인 경우에 어떤 모습으로 보여줄 지를 딱 알려주지 않으면 → 디자이너나 개발자가 어려워.
ex. 너무 길 때 스크롤을 한다.
notion imagenotion image
notion imagenotion image
ex. 입력창도 대부분 동적이겠지? → 그럼 그것도 4줄 이상이면 스크롤 보인다 등등을 설정해야함.
notion imagenotion image
ex. 너무 길면 디자인이 바뀐다. 시간이 어디에 들어간다- 등등.
ex. 길었을 떄 줄바꿈은 어떻게 할지?
 
3) 어떤 내용이 들어갈지 모르는데, 내가 만약 뭔가를 강조하고 싶다면?
  • 예를 들면 일정 앱이니까 '일정'이라는 키워드에 대해서는 강조 처리를 하거나 클릭 시 어디로 넘어가게 하고 싶다? → 미리 알려줘야 함.
  • ex. 서비스 이름이 들어갔을 때 빨간색으로 들어간다던지?
ex. 페이스북 댓글 축하 효과
 
4) 유저의 상태에 따라서 어떤 게 나올 지가 다 다르다면, 그걸 일일이 다 케이스별로 구분
ex. 페이스북 그룹
notion imagenotion image
ex. 싱크 동의창의 동적 약관 스펙을 적용한 롯데면세점
  • 유저가 오프라인에서 QR스캔을 통해서 들어왔다면, tag를 통해서 동의창의 약관을 오프라인 꺼로 노출해야하고,
  • 유저가 온라인환경에서 들어왔다면, 동의창의 약관을 온라인으로 노출해야한다.
 
5) 유저가 어떤 인풋을 할지 모르기 때문에 모든 상황을 다 고려해야한다. 예를 들면 유저가 opt-in을 했을 수도 있고, opt-out을 했을 수도 있다.
  • 광고성 메시지 수신 동의에 따라서 팝업 여부 결정
  • 싱크 동의창의 파트너사 선택 약관 중에서는 유저가 일부는 선택하고 어떤 거는 동의하지 않을 것이다.
  • 그럼 어떤 걸 동의했을 때는 이런 페이지, 동의하지 않았을때는 이런 페이지 → 이렇게 나뉘어야한다.
 
개발자에게 뭔가를 요청할 때 혹은 수정할 때 → 동적인 부분인지, 정적인 부분인지.. 파악하고 하자 ^^ㅋㅋ
안그러면 이게 얼마나 걸릴지 산정이 어렵다.
동적인 부분이라면? 고려할 게 아주 많다. 그럼 개발자는 하기 싫을 것이다.
유저 인풋이 많다거나 하는 앱들은 대부분 동적임.
  • 동적인거랑 정적인거랑 하나만 있기는 어려움.

내가 기획한 것을 → 디자이너에게 넘기면 다양한 고민을 해서 그걸 많이 바꾸게 된다. → 그럼 기획자 입장에서는? 마냥 좋기만 할까? 어떤 부분들을 고려해야할까?
 
  1. 추가되고 삭제된 것 중에서 일단은 동적인 부분이 어디어디인지를 파악
왜냐면? 그건 공수가 많이 든다.
→ 디데이 하나만 추가되어도?
  • 그 데이터를 어떻게 어디서 불러올지?
  • 그걸 어디서 유저가 입력할 수 있게 할지? 다 ~ 고민해야함.
  • 디데이 데이터를 어디에 저장할지?
  • → 이에 따라서 시간이 더 많이 걸리니깐?
 
2. 애니메이션으로 볼 수 있어야 한다.
  • 이건 캡쳐로는 확실하게 느껴지지 않음.
  • 왼쪽으로 땡긴다- 라는 것에도 너무 다양한 종류가 있음.
  • 이걸 더 쉽게 하려고 프로토타이핑 툴이 생김.
 
3. 디자이너에게 우선순위를 넣어 달라고 해야 한다.
  • 특히 동적인 부분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그 스펙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파악해야 한다.
  • 정적인 부분인데 중요한 것부터 빠르게 처리.
 
 
4. 프레임워크에 있는 기능인지 아니면? 직접 개발해야하는 기능인지 파악해야함.
  • 이미 iOS에서는 왼쪽으로 스크롤 시에 나오는 애니메이션은 다 만들어두었음.
→ 이런 거는 그냥 빠르게 할 수 있음. 근데 막 우리 서비스만을 위한 기능이라면? 이미 OS 프레임워크나 타 프레임워크에서 가지고 올 수 있는거라면? 그냥 빠르게 갈 수 있음.
 
notion imagenotion image
 
 
기획자가 프레임워크를 공부한다면 그 목적은?
  • 우리가 원하는 이 기능이 프레임워크에서 이미 준비한 기능인지 아닌지를 구분하기 위함일듯.
  • 개발자에게 말할 때 이게 어떤 프레임워크에 있다는 거를 미리 말해줄 수 있으니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