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년 사내벤처 ‘2,200만 Volt’로 시작하여 현재 ‘아엠벤처스’로 변경 하여운영중이며, 최초 시작할 당시 독립분사를 고려하지 않고 사내 혁신적인 아이디어를사업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시작
혜택:
사내벤처 지원자를 사내공모하여 선발하고 인사이동을 통해 최대 6개월간 기존 업무와 근무시간에 대한 자율성 보장.
독립분사 시 회사가 지분율 20% 범위 내 투자 가능하며, 3년 이내 재입사를 조건으로 창업휴직 허용
SK그룹 / 스타트앳(Start@)
개요:
2017년부터 시작되었으며, 현재 2년차에 접어드는 중
아이디어를 스타트앳 웹페이지에 등록만 하면 구성원들의 평가를 거친 뒤 최종 사업화 결정
지난 1년간 총 653건의 아이디어가 등록되는 성과를 이뤘음.
프로세스:
90일 동안 구성원들의 추천 100건을 넘긴 아이디어 대상
선정 된 아이디어는 전문가 검증 단계로 넘어가게 됨.
리워드 펀딩제도:
구성원들의 스타트앳 적극적인 참여를 위해 '19.6월부터 실시된 크라우드 펀딩
전 구성원에게 스타트앳 전용 가상 투자금 지원
스타트앳 아이디어에 추천 혹은 비추천을 눌러 평가 할 때마다 건당 100만원의 가상 투자금 획득
가상 투자금은 50일의 유효기간을 가지고 있음
2. 추천하고 싶은 아이디어에 원하는만큼 투자
추천이 100이 넘어가는 아이디어는 추천 불가능
해당 아이디어의 진행 과정 (프로세스)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
3. 사업화 성공시 투자 비율만큼 리워드 배분
아이디어 제안자는 포상금 500만원
투자자들은 500만원 상당의 인센티브를 투자 비율에 따라 나누어 갖음
6월 21일 오픈 이후, 361명의 구성원이 아이디어에 가상으로 투자한 금액이 20억 원에 이르고 있음
전문가 검증 이후:
추천 100건을 받은 후 전문가 검증까지 마친 아이디어는 실제로 사업화 할 수 있게 전폭적인 지원혜택이 존재함
워크숍 제공해주며, SKT가 자체적으로 개발한 이노베이션 툴킷과 100만원 상당의 금액이 들어있는 무기명 법인카드 증정
3개월 간의 아이디어 구체화 기간 동안 1,000만원 지원
미국 실리콘 밸리 등 해외 현지 멘토링 기회
이 과정들을 거처 비즈니스 모델이 정해지면 최종적으로 사업화 심의에 들어가며 본격적인 사업 추진 여부 결정
스타트앳과 연계된 아이디어톤 (Ideathon):
스타트앳 2019와 연계된 아이디어톤 행사도 개최했음
일반적인 해커톤 방식의 대회로 다양한 직군으로 구성된 팀이 제한 시간 내에 사업 모델을 기획하고 스타트앳을 통해 심사를 받는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음
다루는 분야는 5G · AI 등 SKT 핵심 ICT 기술
SK텔레콤 / 스타게이트(Stargate)
개요:
사내 유망 정보통시기술(ICT)를 Spin-out 하는 프로그램. 목표는 오는 2020년까지 3개의 기술을 spin-out하는 것.
독자 개발한 기술의 상용화 시상성 검토
프로세스:
기술 사용화 가능성 검증
차별적인 경쟁력을 증명 해야함. 대상 기술은 CES, MWC등에서 어워드를 수상해 국제적으로 인정을 받거나 ICT관계사에 적용되는 등
2. 거점 시장 검토
미국 뉴욕에 설립된 SK텔레콤 TMT인베스트먼트와 SK텔레콤 홍콩사무소 등 해외 조직이 담당
▲현지시장 및 기술동향 ▲사업 파트너 ▲투자자 그룹 관심도 분석예정
3. 기술 스핀아웃(사업화)
총 3가지 방식 .▲외부 투자 받아 신규 회사 설립 ▲타사와 결합 ▲외부 파트너사와 합작회사 설립
스핀-아웃 형태가 결정면 바로 조직을 구성함.2~6명의 소수정예로 꾸려짐.
4. 성장지원
공간, 장비, 기술 지원
외부 전문가 코칭 프로그램
성과:
옵틱스 : 초소형 레이저 광학엔진
음원 분리 기술 : AI기술로 음원에서 보컬, 반주 등을 분리
SK플래닛 / 플래닛X
개요:
조직문화 혁신 및 신규사업 발굴 ,4대 원칙 : 자발적 제안환경 조성, 실행력 강화, 공정한 평가 및 파격적 보상
전담조직 '플래닛X 인큐베이션 센터'운영중
분사성공 : 웨더플래닛(날씨앱), 사내사업화성공 : NFC결제 플랫폼 Beep 등
프로세스 :
격월단위 접수, 팀단위 제안, 사업영역 제한 없음 ( 본인 업무 외 가능)
선정 시 TED 방식으로 생중계하며, 직원평가단 현장 투표
채택률 : 1st 데모 60% | 2nd 데모 70%이상 통과
아이디어 접수
Concept 구체화 (1개월)
1st 데모
프로토타입 제작 (3개월)
별도 부서로 발령
2nd데모
통과시 아이디어 제안자 근속연수 무관 팀장승진, 팀원들에게는 최고등급 인사고과 및 포상 실시
상품출시
단계시, CEO직속 조직 편제
인큐베이팅
사업추진 보장(최소 1년) 팀장 승인권한 2배 상향
사업성 평가
졸업
상여 및 혜택 :
Concept 구체화 단계시 연구비 지원
1st데모 통과시 포상금 200만원/팀
프로토타입 제작시 사업화 자금 최대 3,100만원 지원
상품출시단계 10억 내외 사업화 자금 지원
전담 조직을 CEO 직속으로 신설, 위임전결 권한 확대
사후관리 :
(사내사업화) 영업이익의 10% 3년간 제공
(스핀오프) 일정 지분 부여
한국조폐공사 / 사내벤처
개요:
신사업 개발 및 조직문화 혁신을 목적으로 기획처 전략기획팀에서 담당. 과제관련 사내 전문가 10명으로 구성. 분기 1회 기술,시제품 제작 등 자문
2015년 1기 : 2개팀 | 2016년 1개팀 | 2017년 1개팀
프로세스:
정기 공모. 연 1회, 2차 심사 후 사장이 결정
운영형태:
사내벤처 지원자는 입사 후 1년 이상이면 누구나 지원할 수 있으며, 수시 공모 방식으로 심사위원회와 선정위원회를 거쳐 선정.
B-프로젝트 (수익사업) 과 I-프로젝트(생산,품질, 체제변화 및 경영시스템 혁신)으로 구분되어 운영됨.
사내벤처의 독립분사는 인정되지 않음. 종료후 운영성과에 따라 인센티브 지급.
한국타이어 / Proactive Lab
Proactive Lab tour : 한국타이어의 현재, 미래 R&D현장을 직접 체험할 수 있음. 오리엔테이션 및 공장 견학프로그램
포스코 / 벤처파트너스, 아이디어 마켓플레이스
창업휴직 제도
아울러 사내벤처를 활성화시켜 벤처밸리 운영도 활성화시킨다는 구상이다.
벤처밸리는 포스코가 포항과 광양을 거점으로 스타트업과 벤처기업들을 육성하려는 계획으로 △소재·에너지·환경 연구 △바이오·신약 개발 △스마트 시티 및 스마트 공장 조성사업에 집중해 투자하기로 했다.
응모 자격은 사업 아이디어를 보유한 포스코 및 그룹사 재직자면 누구나 가능하며, 공모된 사업 아이템은 심의를 통해 하반기 사내 벤처팀을 출범시킬 예정이다.
사내 벤처팀에 선정되면 인큐베이팅 기간 중에 실비가 제공되며 벤처밸리와 연계해 사무실과 교육, 기업설명(IR) 등 컨설팅도 지원된다.
이후 실제 경쟁력을 갖춰 회사를 분사시키면 창업 격려금과 3년 이내 창업 휴직도 지원할 예정이다.
한편 포스코는 지난 5월 오는 2024년까지 6년간 ‘벤처밸리’에 2000억원, 벤처펀드에 8000억원 등 모두 1조원 규모의 투자계획을 밝힌 바 있다.출처 :
아모레퍼시픽 / 아모레퍼시픽 벤처스
린스타트업 방식으로 아이디어를 주축으로 팀을 꾸려 심사를 통과하면 사업에 접목 가능. 3~4명 팀원으로 구성
기수당 2팀씩 선발.
프로세스:
서류심사
인터뷰
프레젠테이션
심사에 외부 스타트업 전문가 참여
과정중:
기획부터 생산, 마케팅에 걸친 전 과정을 책임짐.
본사를 벗어난 공간에 사무실을 마련해줌.
최소 2년간 연구기간 보장
신사업TF에 발령 받아 본업과는 별도로 해당 업무에만 매진하게 됨.
과정 후
3년차에 평가 진행.
최소 2년의 운영 기간을 보장받음. 그 후 평가 절차를 걸쳐 분사, 현업이관, 사업유지, 사업종결 선택 가능.
상여& 혜택 :
2년차부터 흑자를 내면 순이익의 20%지급.
월급은 원래대로 받음.
성공사례
연 5억 사업지원금
아웃런, 가온도담, 브로앤팁스, 스테디
롯데 / 아이디어공모전
롯데홈쇼핑 책임급 사원이 제안한 아웃도어 기저귀 ‘대디포베베’가 사내벤처로 선정됐다. 대리급 사원과 같이 롯데 엑셀러레이터에서 사업을 진행, 지난해 6월 법인을 설립한 데 이어 올해 안에 제품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연 1회 공모형식 → 연중 상시로 제안함.
최대 3년까지 휴직 인정 도입할 계획
해외사례
Nokia / Bell Labs / Nokia Bell Labs Prize
개요:
2014년 시점으로 연간 행사로 자리매김하며 포괄적인 테마 “game-changing and impactful ideas that have the potential to change the way we live, work an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아래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 등 ICT 기술 관련 30+개의 분야에 대한, 9개월 간 최종 3팀 선발하는 21세 이상 개인 대상 아이디어 콘테스트임
과정:
지원 시점으로부터 총 9 달 소요
첫 단계 (Call for Proposals): 총 3달 소요 (지원 기간 2달, 선정 1달)
아이디어에 대한 부연 설명 (250 단어 제한)
부록 (3 페이지)
팀 구성은 최대 4명으로 한정
1달 가량 선정 (Bell Labs 내부 전문가들이 선정)
평가 기준: Innovation/Technical Excellence/Feasibility/Business Impact
두번째 단계 (Proposal submissions for finalists): 총 3달 소요
배정된 Bell Labs Research Partner (BLRP)와 간략한 POC 구성 등 원격 협업하여 첫 아이디어 제안서를 구체화시킴
Bell Labs 초대 및 일련의 워크샵 제공
마지막 단계: 총 하루 소요 및 총 파이널리스트 10팀 중 총 3팀 선정
평가단 구성: Bell Labs 내부 전문가 + 전사 (Nokia) 임원 + 해당 분야 외부 전문가
Bell Labs 본사에서 진행
발표: 메인 PPT 발표에 이어 10분 가량의 Q&A 세션
최종 3팀 선정: 3개월 후
파트너:
Alcatel Lucent (자회사)
상금:
최종 3인에게 공통으로 주어지는 혜택: Bell Labs에서 내부 전문가들과 함께 아이디어 구체화 시키는 과정 지원
1등: $100K / 2등: $50K / 3등: $25K
AIA / AIA Next 100 The Gurdians Challengs
개요:
재학생 대상 100주년 행사로서 AIA 사업 관련 포괄적인 테마 ‘Build Future of Insurance and Megacities’ 아래 Customer Lifestyle/Customer Experience/Customer Protection/Customer Ecosystem 카테고리 중 하나를 선정하고 AIA 홍콩 자원을 사용하여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대회임.
프로세스:
첫 단계: 총 1달 소요
10장의 PPT (테마, Problem Statement, 해결방안 등 포함) + 100자 이내의 아이디어에 대한 개요
지원 기간 중 Webinar Series를 통해 참가자들에게 Insight 제공
선정: 평가 기준 (Originality/Desirability/Feasibility/Viability) 1주일 간 15-20 팀 1차 선발
두번째 단계: 총5달 소요
아이디어 구체화를 위한 멘토링 과정 (파트너사들과 함께 하루치 투토리얼 및 현지 방문 기회 제공)
멘토링은 원격으로 온라인으로 팀 담당자가 지원함
멘토 인력 구성: 내부 및 파트너사로 8:2 비율로 구성
아이디어 구체화 후 15-20장의 PPT 및 부록 제출 후 2차 선발
마지막 단계: 총 이틀 소요 (주로 주말, 해커톤 형태)
피칭 발표 + Q&A 세션으로 이루어지며 최종 3팀 선발
평가단: AIA 내부 인력으로 구성
파트너: Microsoft, Accenture, LinkedIn
상금:
1등: 인턴십 기회, HKD 20K + 호치민 여행 바우처
2등: 멘토십 기회, HKD 14K
3등: 멘토십 기회, HKD 8K
추가 별도 상들도 마련됨.
Google / AREA 120
6개월까지 전업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개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
Microsoft / Garage ProjectGE / Fast Works프로그램
핵심 기능만 갖춘 제품 (MVP)을 사내 밴처가 개발하도록 지원해 고객에게 피드백을 받고 수정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도록 체계화 함
2014년에 약 2만 명 가까운 임직원들이 약 400개가 넘는 아이디어 제품에 프로그램 지원을 받음
시스코 / Emerging Technology Group
짧게는 5년 길게는 7년사이에 10억달러 이상의 시장으로 클 수 있는 잠재적인 아이디어를 발굴하게 되면 이를 사내 벤처로 분사시킴.
🎖ECV(External coporate venture)
외부 아이디어를 수집하기 위해 액셀러레이터 등 창업기획사를 설립하거나 공모전을 개최하는 활동 또는 자회사인 벤처투자회사(CVC)를 운영하여 직접 투자하는 활동
국내사례
교보생명 / 이노스테이지 - 20.11.13교원 / DEEP CHANCE 스타트업 프라이즈
개요:
교원그룹이 주최하는 딥체인지 리그, 매경미디어그룹의 미라클랩과 공동주최하는 미라클 리그로 구성되있는 스타트업 공모전으로 에듀테크, 라이프스타일, ICT, 핀테크 (미라클 리그 한정) 분야의 걸쳐 유망 스타트업 기업 모집
대한민국 교육생활문화의 혁신을 선도하고 더 나아가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목적
참가대상:
<딥체인지 리그>
스타트업 창업 후 7년 이내 스타트업
사업 성과와 매출 성과가 있으며, 교원과 융합사업 의지가 있는 스타트업
투자가 가능한 법인 등록 스타트업 (시리즈 A 전후 단계 기업)
<미라클 리그>
스타트업 창업 후 3년 이하인 Early Stage 기업또는 투자 유치시 법인 등록 완료할 수 있는 예비 창업팀
교원그룹, 매경미디어그룹과 융합사업 의지가 있는 스타트업
프로세스:
지원접수 기간 (약 1개월)
서류 심사 및 발표 (약 2주)
대면 심사 및 발표 (약 2주)
엑셀러레이팅 (약 10주)
스타트업 프라이즈 선발기업 발표
스타트업 프라이즈 개최
파트너사:
매경미디어그룹
상금 및 혜택:
총 투자금은 11억원, 총 상금은 1억원 규모
교원그룹 사업본부와 워크샵, 엑셀러레이팅 프로그램 참여지원
오피스아워를 통한 상품, 서비스, 기술 협업
전문 벤처캐피털리스트와 액셀러레이터의 멘토링
IR전문컨설팅 제공
교원그룹 주관 대형 행사 개최장에서 오픈이노베이션 성과 발표 기회와 홍보 지원
삼성전자 / C-lab 아웃사이드
개요:
삼성전자 사내벤처 프로그램 C랩을 외부로 확대하면서, 기존 모바일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을 삼성전자 비즈니스 분야로 확대함.
ㆍProduct & Service 부문: 새로운 상품 혹은 브랜드 내 상품과 관련한 다양한 아이디어 제안
ㆍCommunication&Sales 부문: 브랜드 혹은 기존 상품에 대한 홍보 아이디어 제안
→ 공모주제 및 부문 자체는 자유 아이디어, but 각 브랜드 상황과 브랜드가 원하는 방향에 대해서는 명확한 가이드라인 제시
HBR: Internal IDea Competition
Frame the competition around a specific need.: Make your challenge statement or question focus on a specific problem to be solved
Break up challenges into manageable, implementable steps.: 1 page pitching에서 시작해서 여러장으로 만들 수 있게
Provide company resources and internal mentors.: massive repositories of knowledge, resources, and IP assets that become so large, even their own employees and executives aren’t fully aware of its breadth. Leverage this content by encouraging contestants to access this data+ competitions come with internal classes, tutorials, and when possible, executive mentoring, to better guide the contestants through the idea submission process.
Draw value from the competition process, not just the results.: well-managed internal competitions teach employees new skills, connect them across multiple departments, and amplify the company’s overall creative amb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