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AI를 배워보자

chatGPT는 대표적인 생성형 AI 솔루션 중 하나이다. 이를 좀 더 재미있고 유용하게 사용하기 위해서 생성형 AI(Generative AI)는 과연 무엇이며, 그리고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 어떤 것들을 더 공부해야 하는지 간단하게 살펴보도록 하자.
아래의 내용은 큰 제목을 제시한 다음 제목에 해당하는 내용은 Notion AI로 작성된 글이다. 내용 중에 정확하지 않은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생성형 AI란 무엇인가?

생성형 AI는 딥러닝과 자연어처리 등의 기술을 기반으로, 기존에 학습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하는 인공지능 기술이다.
생성형 AI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예측 모델링, 이미지 생성 및 음성 생성 등에도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은 이미지 생성 분야에서도 놀라운 결과를 보여주고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디자인을 만들거나 새로운 제품을 개발하는데에도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생성형 AI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딥러닝과 자연어처리, 확률론 등의 기본 개념을 숙지해야 한다. 또한, 생성형 AI의 구조와 작동 방식을 학습하고, 이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익혀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학습 자료와 사례 연구를 참고하고, 실제로 코드를 작성하고 실행해보는 것이 좋다.
최근에는 생성형 AI를 활용하여 실제로 비즈니스 문제를 해결하는 예시도 늘어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기업들은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최적화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는데에도 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생성형 AI를 배우고 활용하는 것은 현대적인 비즈니스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기존 AI와 생성형 AI의 차이점

AI 유형
강점
주요 활용 분야
기존 AI
입력 데이터에 대한 정확한 계산
예측 모델링, 분류, 회귀 분석
생성형 AI
새로운 데이터 생성
이미지 생성, 음성 생성
항목
기존 AI
생성형 AI
목적
사람이 정의한 규칙과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처리
이미 존재하는 데이터를 학습하여 새로운 데이터 생성 및 분류
학습 방식
사람이 정의한 알고리즘(규칙)을 이용하여 학습
데이터를 바탕으로 학습
데이터 양
적은 데이터 양으로도 학습 가능
많은 데이터 양이 필요
결과 예측
예측 가능한 결과를 도출
예측하기 어려운, 새로운 결과를 도출
유연성
유연성이 떨어짐
유연성이 높음
응용 분야
이미 정의된 규칙에 따라 적용 가능한 분야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 가능한 분야

생성형 AI와 빅 데이터

생성형 AI와 빅 데이터는 현대적인 비즈니스에서 필수적인 기술로 자리 잡았다. 빅 데이터는 기존의 데이터 처리 방식에서 벗어나, 대량의 데이터를 수집, 저장, 처리 및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한다. 이로 인해 다양한 데이터 소스에서 비즈니스와 관련된 유용한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활용하여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생성형 AI는 빅 데이터를 필요로 하며, 이를 통해 학습하고 새로운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러한 생성형 AI는 이미지 생성, 음성 생성, 자연어 처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성형 AI를 이용하여 의료 영상 분석을 수행하거나, 자연어 처리를 통해 고객 응대를 자동화하는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생성형 AI는 빅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분석하고 활용하는 기술로도 주목받고 있다. 이는 빅 데이터의 복잡한 패턴을 인식하고 이를 활용하여 예측 모델을 개발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성형 AI를 이용하여 고객 행동을 예측하고, 이를 기반으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빅 데이터와 생성형 AI는 서로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함께 활용하여 비즈니스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생성형 AI와 LLM

LLM은 Large Language Model의 약자로, 언어 모델링 분야에서 생성형 AI의 발전에 큰 역할을 한다. LLM은 방대한 규모의 데이터를 학습하여 매우 자연스러운 문장 생성 능력을 보이며, 이를 활용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자동 번역, 문서 요약, 챗봇 등에 활용될 수 있다.
LLM을 학습시키기 위해서는 매우 방대한 양의 데이터와 컴퓨팅 리소스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클라우드 서비스 등을 활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LLM은 높은 수준의 자연어 처리 능력을 요구하기 때문에, 자연어 처리 분야의 전문 지식이 필요하다.
따라서, 생성형 AI를 응용하는 분야에서 LLM의 활용은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LLM의 기본 개념과 구조, 학습 방법 등을 이해하고, 다양한 사례 연구를 참고하는 것이 좋다.

GPT와의 관계

GPT는 OpenAI에서 개발한 대표적인 생성형 AI 모델 중 하나이다. GPT 모델은 Transformer 기반의 딥러닝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학습 데이터를 기반으로 문장 생성을 수행한다. 이러한 GPT 모델은 자연어 처리 분야에서 매우 유용하며, 대표적인 활용 사례로는 자동 번역, 문서 요약, 챗봇 등이 있다.
GPT 모델은 다양한 규모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이 가능하다. 이러한 학습 과정에서 GPT 모델은 텍스트 데이터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텍스트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서 GPT 모델은 각 단어와 문장의 의미를 이해하고, 문맥과 연관성을 파악하여 자연스러운 문장을 생성할 수 있다.
GPT 모델은 현재까지 여러 버전이 출시되었으며, 각 버전마다 다양한 개선 사항이 적용되어 있다. 최근에는 GPT-3라는 대규모 모델이 출시되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GPT-3는 엄청난 규모의 학습 데이터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이를 통해 매우 자연스러운 문장 생성 능력을 보여주고 있다.
GPT 모델의 활용 분야는 매우 다양하며, 특히 자연어 처리 분야에서 많이 활용된다. 예를 들어, GPT 모델을 이용하여 자동 번역 시스템을 개발하거나, 챗봇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의 다양한 활용 사례가 있다. 또한, GPT 모델은 유저 인터페이스(UI) 개발에서도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에 대해 자동으로 답변을 생성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GPT 모델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은 자연어 처리 분야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자연어 처리 분야의 기본 개념과 함께 딥러닝과 Transformer 아키텍처 등에 대한 이해도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학습 자료와 사례 연구를 참고하여 GPT 모델의 구조와 작동 방식을 학습하고, 이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익히는 것이 좋다.

Transformer 아키텍처

Transformer 아키텍처는 기존의 자연어 처리 모델에서 발생하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장하게 되었다. 기존의 모델들은 입력된 문장을 하나의 벡터로 압축하여 처리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문장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모델의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Transformer 아키텍처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입력된 문장의 각 토큰을 개별적으로 처리하여 문맥과 관련된 정보를 가지고 있는 상태로 유지하면서, 다음 단어나 문장을 예측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를 위해 Transformer는 Self-Attention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입력된 문장의 각 토큰 사이의 상관 관계를 파악하여, 각 토큰의 중요도를 계산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음 단어나 문장을 예측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Transformer 아키텍처는 이러한 성능 향상과 함께, 학습 시간이 상대적으로 빠르고, 병렬 처리가 가능하다는 장점도 갖고 있다. 이로 인해 최근에는 자연어 처리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아키텍처 중 하나로 자리잡고 있다.
하지만, Transformer 아키텍처를 이해하고 활용하기 위해서는 딥러닝과 자연어 처리 분야의 기본 개념과 함께, Self-Attention 메커니즘과 같은 세부적인 내용에 대한 이해도 필요하다. 이를 위해 다양한 학습 자료와 사례 연구를 참고하여 Transformer 아키텍처를 학습하고, 이를 활용하여 다양한 자연어 처리 문제를 해결해볼 수 있다.
Transformer 아키텍처에서 사용되는 self-attention 메커니즘은 자연어 처리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기능은 입력 시퀀스 내의 각 토큰 간 상호 작용을 이용하여 다른 부분에 집중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이를 통해 모델은 각 토큰의 문맥을 더 잘 이해하고, 더 나은 성능을 보인다. 이를 위해 입력 시퀀스 내의 모든 토큰 쌍 간 어텐션 점수를 계산하고, 최종 출력 계산 시 각 토큰의 기여도를 가중치로 사용한다.

딥러닝이란?

딥러닝은 이미지 인식, 음성 인식, 자연어 처리 등과 같은 분야에서 성공적인 결과를 얻고 있습니다. 딥러닝은 학습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델을 학습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데이터에 대한 예측을 수행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많은 양의 학습 데이터와 컴퓨팅 리소스가 필요합니다. 학습된 모델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습니다.
딥러닝은 인공 신경망을 기반으로 하고, 다층 퍼셉트론이나 CNN, RNN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GPT와 같은 생성형 모델에서 매우 성공적인 결과를 얻고 있습니다.
딥러닝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미지 인식, 음성 인식, 자율주행자동차, 얼굴 인식 시스템, 의료 분야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딥러닝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딥러닝을 이해하고 활용하기 위해서는 인공 신경망의 기본 개념과 함께, 다양한 딥러닝 모델의 동작 방식에 대한 이해도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많은 학습 자료와 사례 연구를 참고하여 딥러닝의 기초부터 응용까지 학습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생성형 AI, LLM, GPT, Transformer 아키텍처와 같은 다양한 기술들은 딥러닝의 발전과 함께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기술들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은 현재 및 미래의 다양한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GPT 모델의 실제 적용 예제

다음의 예는 GPT 모델을 이용한 자동 요약 기능이다. 이 기능은 긴 문서를 간단하게 요약하여 제공하므로, 빠른 정보 파악이 가능하다. 또한, GPT 모델을 이용하여 특정 키워드에 대한 검색 결과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보다 효율적으로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import torch from transformers import GPT2Tokenizer, GPT2LMHeadModel # 미리 학습된 GPT2 모델과 토크나이저를 불러온다. tokenizer = GPT2Tokenizer.from_pretrained('gpt2') model = GPT2LMHeadModel.from_pretrained('gpt2') # 사용할 디바이스를 설정한다. device = torch.device("cuda" if torch.cuda.is_available() else "cpu") # 모델을 디바이스에 할당한다. model.to(device) # 모델을 이용해 텍스트를 생성한다. input_text = "The quick brown fox jumps over the lazy dog" input_ids = tokenizer.encode(input_text, return_tensors='pt').to(device) sample_output = model.generate(input_ids, max_length=50, do_sample=True) # 생성된 텍스트를 출력한다. print("생성된 텍스트:") print(tokenizer.decode(sample_output[0], skip_special_tokens=True))
이 코드는 초기 프롬프트가 주어졌을 때 사전 학습된 GPT-2 모델을 사용하여 텍스트를 생성하는 예시를 보여준다. 모델은 transformers 라이브러리의 GPT2LMHeadModelGPT2Tokenizer 클래스를 사용하여 로드됩니다. 입력 텍스트는 토크나이저를 사용하여 토큰화되고 PyTorch 텐서로 변환된다. 모델의 generate 메소드는 입력 토큰을 기반으로 텍스트를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생성된 텍스트는 토크나이저를 사용하여 디코딩되고 콘솔에 출력된다.

GPT를 공부하는 데 필요한 다른 개념들

GPT 모델을 이해하고 활용하기 위해서는 자연어 처리 분야뿐만 아니라, 딥러닝과 Transformer 아키텍처 등의 기본 개념과 함께, Self-Attention 메커니즘과 같은 세부적인 내용에 대한 이해도 필요하다. 이를 위해 다양한 학습 자료와 사례 연구를 참고하여 이러한 개념들을 학습하고, 이를 바탕으로 GPT 모델을 활용하여 다양한 자연어 처리 문제를 해결해보는 것이 좋다.
GPT 모델을 이해하고 활용하기 위해서는 딥러닝과 자연어 처리 분야의 기본 개념과 함께, Transformer 아키텍처와 Self-Attention 메커니즘 등에 대한 이해도 필요하다. 이를 위해 많은 학습 자료와 사례 연구를 참고하여 이러한 개념들을 학습하고, 이를 바탕으로 GPT 모델을 활용하여 다양한 자연어 처리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좋다.
GPT 모델을 이해하고 활용하기 위해서는 자연어 처리 분야 뿐만 아니라, 딥러닝과 Transformer 아키텍처 등의 기본 개념과 함께, Self-Attention 메커니즘, Fine-tuning 등에 대한 이해도 필요하다. 이를 위해 다양한 학습 자료와 사례 연구를 참고하여 이러한 개념들을 학습하고, 이를 바탕으로 GPT 모델을 활용하여 다양한 자연어 처리 문제를 해결해보는 것이 좋다.
 

생성형 AI 관련 도서

다음은 생성형 AI를 공부할 때 참고할 만한 책들이다.
  • "한국어 임베딩" (박은정, 이기창 지음)
  • "딥 러닝을 이용한 자연어 처리 입문" (김기현 지음)
  • "밑바닥부터 시작하는 딥러닝 2" (사이토 고키 지음)
  • "파이썬과 케라스로 배우는 강화학습" (박해선 지음)
  • "케라스 창시자에게 배우는 딥러닝" (프랑소와 숄레 지음)
  • "딥러닝 입문 with 텐서플로우 2.x" (조휘용 지음)
  • "PyTorch로 시작하는 딥 러닝 입문" (박해선 지음)
이 외에도 다양한 학습 자료와 사례 연구를 참고하여 공부하는 것을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