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수법은 수를 표현하는 방법이다. 우리가 늘 사용하는 아라비아 숫자와 이를 나태내는 수 사이의 관계를 깊이 생각하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좀 더 체계적으로 수를 다루기 위해서, 그리고 프로그래밍에서 다양한 진법의 수를 다루어야 할 때 기수법의 기초는 꼭 필요하다.
1. 수와 숫자
1.1. 둘 사이 구분하기
- 수: 크기를 가지는 실제하는 값
- 숫자: 수를 표현하려고 쓰는 기호
5
,V
,五
는 모두 같은 수를 나타내는 다른 표현 방법이다.
1.2. 여러 가지 숫자
- 로마 숫자
- 시계나 오래된 책 등에서 사용
I
,V
,X
,L
,C
,D
,M
는 각각 1, 5, 10, 50, 100, 500, 1000 을 나타냄.
- 아라비아 숫자
- 현재 가장 많이 널리 쓰이는 숫자
0
,1
,2
,3
,4
,5
,6
,7
,8
,9
. 모두 열 개로 표현.- 위치 기수법 사용
- 표시 예
- 1975
- 8192
- 2019
- 한자 숫자
- 기타 숫자
2. 밑과 기수법
2.1. 밑(base)
- n진법: 수를 나타낼 때 n개의 기호를 사용하는 수
- n진수: n진법으로 기록된 수
- 밑: n.
- 보기
- 10진법: 수를 나타낼 때 10개의 기호를 사용하는 수
- 10진수: 10진법으로 기록된 수
- 밑: 10
- 밑으로는 아리비아 숫자를 포함하여 다른 것들도 쓰일 수 있다(알파벳 등)
- 보기) 16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