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유닛 회고
step1. 타겟 선정
“누구를 위해 무엇을 개선할것인지?”
- 산출물
- 배경, 동향, 수요,경쟁사 리서치
- 타겟 세그먼트
- 페인포인트, 니즈
- 타겟선정 (2~3가지 안) (육군/ 직업군인)
- wbs(초안)
- 공유를 통해 해당 타겟으로 기획 진행여부 결정
- 방향성이 명확했으면 좋겠다.
상품/서비스 카테고리가 정해지면 아이디어의 실현 가능성 측면에서 좀 더 구체적으로 나올 수 있을 것 같다.
step2. 타겟 검증, 확인
“정말로 그들은 해당 pain point와 needs가 있는가?,
해당 타겟에게 우리가 솔루션을 제공할 당위성(수익/사회공헌/브랜딩)이 있는가?”
- 타겟 검증을 위한 정량 리서치 진행 : 사내 데이터 or 설문조사
- 데이터 기반으로 해당 세그에 대한 가설을 세우고, 이를 인뎁스인터뷰로 확인하는 절차
- 타겟 검증을 위한 정성 리서치 진행 → 1차 인터뷰
- 인터뷰 설계(타겟이 확실히 정해진 경우)
- 모객 기준은 유닛이 결정
- 산출물 - 인터뷰 스크립트, 모객 프로파일
- 인터뷰 진행
- 최소 2개의 그룹, 각각3명씩 총 6명 진행
- 일부의 의견을 전체인것처럼 다루지 말기, 충분한 데스크 리서치가 수반되어야 함
- 산출물 - 인터뷰 로그
- 산출물
- 배경(동향, 수요조사,경쟁사 조사)
- 타겟 세그먼트 (니즈, 문제점, 솔루션)
- 솔루션 설명 + 중장기 목표 / 론칭 이유
- 프로토타입, 서비스 플로우
- 상품구성(급부)
- 마케팅
- Appendix
- 아이디어의 검증이 먼저인지, 시장상황/유저특성 등 전반적인 파악이 먼저인지 단계별로 목적이
뚜렷한 인터뷰 설계가 필요.
step3. 솔루션 검증, 확인
“정말로 그들이 우리의 솔루션을 필요로 하는가?”
- 유관부서와의 to-do list작성 ex) 유관부서에게 00확인, 00공유 등…
- 솔루션 검증은 IDI 검증으로 하기엔 모수가 적고 유저 대표성이 적음.
때문에 더 디테일한 검증 테스트 방식이 필요.
step4. 솔루션 실행, 개발
“실행&개발 가능성 검토 및 일정 산출 / R&R 정리”
- 유관부서 미팅 - 우리 솔루션을 공유하고, 실행을 위해 어떤 산출물을 공유해줘야 하는지 확인? ex) IT운영 → 메뉴구조도 / 요건정의서, 상품에자일팀 → 상세 상품 구성안…
- 산출물
- 상품 : 상품 구성
- 서비스 : IA & 메뉴구조도 / 요건정의서
- 마케팅 : 마케팅 상세 기획안
- 유관부서 간 커뮤니케이션 연결다리 필요. 아이디어 토스하는 과정에서 유관부서가 필요한 부분은 최대한 정리해서 주는 프로세스 필요. 혹은 이관 시 유관부서와 협의 된 포멧 필요.